[9월10일~15일] 성장형, 연초이후 " - " 반전 | ||||||||||||||||||||||||||||||||||||||||||||||||||||||||||||||||||||||||||||||||||||||||||||||||||||||||||||||||||||||||||||||||||||||||||||||||||||||||||||||||||
---|---|---|---|---|---|---|---|---|---|---|---|---|---|---|---|---|---|---|---|---|---|---|---|---|---|---|---|---|---|---|---|---|---|---|---|---|---|---|---|---|---|---|---|---|---|---|---|---|---|---|---|---|---|---|---|---|---|---|---|---|---|---|---|---|---|---|---|---|---|---|---|---|---|---|---|---|---|---|---|---|---|---|---|---|---|---|---|---|---|---|---|---|---|---|---|---|---|---|---|---|---|---|---|---|---|---|---|---|---|---|---|---|---|---|---|---|---|---|---|---|---|---|---|---|---|---|---|---|---|---|---|---|---|---|---|---|---|---|---|---|---|---|---|---|---|---|---|---|---|---|---|---|---|---|---|---|---|---|---|---|---|---|
번호 | 67 | 작성일시 | 2001-09-16 | 조회수 | 24448 | |||||||||||||||||||||||||||||||||||||||||||||||||||||||||||||||||||||||||||||||||||||||||||||||||||||||||||||||||||||||||||||||||||||||||||||||||||||||||||||
주가지수 500선이 무너진 지난주 16%의 손실을 본 펀드가 발생하는 등 주식 관련
펀드가 곤혹을 치렀다. 특히 성장형 펀드는 주가급락으로 연초이후 수익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지난 15일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제로인이 펀드수익률과 자금동향을 조사한 결과, 일반 성장형 펀드는 최근 1주일간 -9.58%를 기록했다. 주간수익률로는 올해 들어 가장 손실 폭이 컸다. 이로써 지난 1개월 수익률이 -12.59%를 기록해 10%가 넘는 손실을 입은 것은 물론 연초이후 수익률도 -2.22%로 마이너스 상태에 접어들었다. 미 테러 참사의 여파로 종합주가지수가 지난주 13.11%나 급락하면서 지수와 연동하는 인덱스 펀드는 -11.97%를 기록해 가장 피해가 컸다. 단기 고수익을 목표로 운용되는 스폿펀드 역시 같은 기간 -7.55%를 기록, 현재 운용 중인 모든 펀드가 원금손실을 입은 상태다. 주식 관련 펀드 중 특수형으로 분류되는 후순위채와 하이일드 펀드만이 지난주 각각 0.21%, 0.12%의 수익을 낸 정도였다. 차익거래 펀드는 같은 기간 -0.01%를 기록했고 주가 하락에도 자금유입이 지속된 일반 안정형 펀드는 -1.62%를 기록해 상대적으로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정금액 100억원 이상이면서 1개월 이상 운용된 356개 일반 성장형 펀드 중 15개 펀드만이 5%미만의 손실을 입는데 그친 반면 -13.39%를 기록한 한화운용의 한화장기주식 1호를 비롯해 45개는 무려 주간수익률이 -11%를 넘는 손실을 초래했다. 특히 이 중 올해 설정됐던 28개 일반 성장형 펀드는 지난주 주가 급락영향으로 모두 원금손실 상태에 접어들었다. 주식관련 펀드 중 가장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한 것은 -16.23%의
손실을 입은 현대운용의 코스닥펀드 BK엄브렐러코스닥 1호였다. 채권형 펀드는 최근 주춤하던 상승세가 다시 힘을 받은 한 주였다. 직전주 0.14%를 기록했던 시가 채권형 펀드는 지난 1주일간 0.26%의
수익을 냈다. 설정금액 100억원 이상이면서 1개월 이상 운용된 620개 시가 채권형 펀드 중 160개는 지난 1주일간 0.30%를 웃돌았고 이 중 세종운용의 장기 채권펀드인 SJ장기채권 1호와 주은운용의 비과세고수익고위험채권1호는 각각 0.85%, 0.83%의 좋은 성과를 올렸다. 특히 장기채 보유 비중이 높은 주은운용은 주간수익률 상위 10위 내에 5개 펀드를 올려놓는 등 강세를 보여 주간 운용사 수익률에서도 0.38%로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주 자금동향을 살펴보면 주가 급락에도 불구하고 안정형 펀드로 자금이 유입되면서 주식형과 채권형 모두 자금은 증가했고 특히 단기 채권형 펀드와 MMF로 자금유입이 급증했다. 주식 관련 펀드의 설정액은 지난 1주일간 2,426억원이 늘어 14일
현재 47조,4,896억원으로 집계됐다. 채권형 펀드의 총설정액은 처음으로 60조원을 넘어섰다. 시가 중기형 펀드에서는 지난 1주일간 655억원이 감소했으나 시가 단기형 펀드 14개가 신규설정되면서 8,020억원이 증가하는 등 단기형 펀드에서만 총 1조2,829억원이 유입된 것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MMF도 지난 1주일간 1조6,929억원이 증가해 14일 현재 43조2,843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
이전글 | [9월17일~22일] 자금시장 단기부동화 심화, MMF설정금액 사상 최고치 |
다음글 | [9월3일-9월8일]MMF 5주만에 증가세로 돌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