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가 약보합세를 보인 가운데 주식펀드들이 소폭이지만 수익을 낸 것으로 조사돼 눈길을 끈다.
펀드평가사 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2일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한주간 펀드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주식성장형(약관상 주식투자한도 70%초과) 펀드들은 평균 0.13%를 기록했다.
비교기간 0.05% 하락한 KOSPI지수와 비교해볼 때 0.18% 높은 성과이다. 이는 코스피시장의 대중소형주의 지수등락률에서 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같은기간 중소형주 지수가 각각 –1.78%, -1.77% 하락한 반면, 대형주지수는 0.14% 상승했고 평균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큰 초대형(펀드순자산총액 기준) 펀드일수록 대형주 투자비중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다시 말해 평균수익률 기여도가 큰 초대형펀드들의 선전으로 인해 유형평균 수익률이 좋았던 셈이다.
주식투자비율이 성장형 펀드보다 낮은 안정성장형(41~70%)과 안정형(10~40%)도 둘 다 0.06%의 수익을 올리며 선전했다. 그러나 KOSPI 200지수가 0.18% 하락함에 따라 이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형 펀드는 0.10% 하락했고, KOSDAQ형도 -0.13%의 수익률을 보이며 손실을 기록했다. 채권펀드는 국고채 3년물 유통수익률이 0.04%포인트 하락함에 따라 한 주간 0.13% (연 6.87%)로 비교적 양호한 성적을 올렸다. 채권형 중에서는 국채에 주로 투자하는 국공채형은 0.12%(연 6.12%)의 수익을 낸 반면 회사채 투자비중이 높은 공사채형은 0.13%(연 7.02%)로 더 높은 수익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bmp)
설정액이 100억원 이상이면서 운용기간이 한달 이상 된 성장형 펀드 172개의 주간성과를 살펴보면, KOSPI 지수가 소폭 하락한 가운데에도 절반이 넘는 94개의 펀드가 ‘+’ 수익률을 기록했다. 그 중 미래에셋나이스주식 1호가 3.54%로 주간수익률이 가장 높았고 △아이운용의 현대히어로알짜배당주식 2.76% △삼성운용의 삼성우량주장기투자 CLASS B 1.44% 등이 좋은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위 10위권의 펀드들 가운데 삼성그룹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가 5개를 차지하는 등 삼성그룹 관련 펀드들의 성과가 두드러졌다. 이는 코스피지수가 0.05% 하락하는 동안 삼성엔지니어와 삼성테크윈이 각각 1주일간 15.09%와 10.22%씩 급등한 외에도 △삼성화재 5.79% △삼성중공업 4.16% 등의 상승률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반면 직전주인 5월 26일 기준가로 상위권에 포진했던 중소형주 투자비중이 높은 펀드 및 가치주 펀드는 중하위권으로 다시 밀려났다. 앞서 말한대로 코스피시장의 대형주 지수는 소폭 오른 반면 중소형주 지수는 2%가까운 하락세를 보였고, 코스닥지수도 1.19%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이로인해 코스닥 및 중소형주 투자비중이 높은 펀드들이 저조한 성과를 거둔 것이다. 지금과 같은 횡보 장세가 이어진다면 주식시장 내 대형주 및 중소형주간의 시소게임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bmp)
1개월이상 운용된 100억원 이상 채권 펀드들 중에서는 동양운용의’ 동양모아드림채권 1호 가 1주일 동안 0.18%(연 9.32%)로써 가장 높은 수익을 냈고, △SH운용의 ‘Tops적립식채권 1호’ 0.17%(연 9.08%) △ 도이치운용의 ‘도이치코리아채권 1-1 Class A’ 0.16%(연 8.58%) 등이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주간 수익률 상위권에 위치한 펀드들은 대부분 보유채권의 신용등급이 낮은 펀드라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같은 기간 국고채 3년물 수익률이 0.04%하락(가격 상승)한 반면 회사채 BBB- 등급 3년물은 0.08%가 하락(가격 상승)하면서 좀 더 많은 시세차익이 발생한데다 공사채형 펀드의 이자수입이 국채펀드보다 많았기 때문이다. 4월초 기준으로 상위펀드들의 채권 평균신용등급은 △‘Tops적립식채권 1호’ AA- △‘도이치코리아채권 1-1 Class A’ A+ △‘동양High Plus채권 1호’ BBB+ 로 업계평균인 AA+ 보다 낮았다.
.bmp)
한편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 증권 및 단기금융(MMF)의 설정액은 채권형을 제외한 전 유형에서 자금이 유입됨에 따라 지난 한 주간 1조 4,294억원 증가한 206조 6,380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채권혼합형 펀드 설정액은 1주간 8,287억원 늘어난 36조 8,894억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주식형 펀드도 5,668억원 증가하여 지난 3주간 무려 2조 4407억원 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주식혼합형 206억 △MMF 237억 등으로 증가세를 보였고 채권형은 103억원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최용환 : www.funddoctor.co.kr >
.bm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