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2 국내] 엔비디아 차세대 그래픽 카드 기대에 국내 증시 상승 | |||||
---|---|---|---|---|---|
번호 | 2865 | 작성일시 | 2024-07-12 | 조회수 | 2440 |
엔비디아 차세대 그래픽 카드 기대에 국내 증시 상승 한 주간 국내 증시는 상승하였다. KOSPI는 엔비디아의 차세대 그래픽 카드 수요에 대한 기대가 확산되면서 반도체주가 강세를 보이며 상승하였다. 한국은행 금통위에서 기준 금리를 동결하였으나, 향후 인하 검토 가능성을 시사하며 호재로 작용하였다. 밸류업 기대감 역시 상승의 한 요인이었다 KOSDAQ 역시 반도체주가 강세를 보이며 상승하였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2.35%의 상승세를, 코스닥 지수는 1.38%의 상승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기계업(4.62%), 전기 전자업(3.85%), 서비스업(3.46%)이 강세를 보였으며, 화학업(-0.29%), 종이 목재업(-0.55%), 운수 창고업(-3.99%)은 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7월 12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2.28% 상승했다.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형 펀드는 2.05%, 중소형주식형 1.29%, 배당주식형 펀드는 1.11%, K200인덱스 펀드는 2.5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한국은행 금리 동결에 국채 금리 상승 한 주간 국내 채권금리는 상승세를 보였다. 국내 채권금리는 한국은행 7월 금통위에서 만장일치로 금리 동결을 결정하면서 이로 인한 영향으로 상승하였다. 한국은행은 최근 물가 둔화로 인하여 여름 기준 금리 인하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있었으나 부동산 가격 상승과 이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 안정에 대한 우려가 있어 동결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다만 여전히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은 열어두었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1.60bp 상승한 3.226%, 3년물 금리는 4.30bp 상승한 3.158%, 5년물 금리는 2.30bp 상승한 3.170%, 10년물 금리는 0.70bp 상승한 3.222%로 마감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7월 12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10%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 펀드는 0.12%, 초단기채권 펀드는 0.07%, 중기채권 펀드는 0.12%, 우량채권 펀드는 0.23%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자금 동향 7월 12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8,431억원 감소한 279조 3,916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9,218억원 증가한 310조 3,011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2,364억원 감소한 17조 9,325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1,695억원 감소한 24조 2,812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6,423억원 증가한 26조 7,692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6,937억원 증가한 27조 8,778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6억원 감소한 9,365억원으로 집계되었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9,384억원 감소한 146조 2,238억원으로 집계됐다. |
이전글 | [7/12 해외] 파월 의장 미 하원 발언에 글로벌 증시 상승 |
다음글 | [7/5 해외] 파월 의장 비둘기파적 발언에 해외 증시 상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