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8]금리인상과 수급부담 가중된 채권시장..채권형 손실기록 | |||||
---|---|---|---|---|---|
번호 | 223 | 작성일시 | 2004-06-20 | 조회수 | 24563 |
지난 한주간 주식과 채권시장은 동반 약세현상을 보였다. 직전 주 수익률 상승 반전을
꾀했던 성장형 펀드는 -3.03%로 다시 하락했으며, 채권형 펀드는 금리급등으로 연환산
-3.05%로 부진한 성과를 나타냈다. 제로인이 지난 18일(금)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각 유형별 한주간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주식형 전 유형에서 마이너스 수익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주식편입비 상한이
70%를 초과하는 성장형은 -3.03%, 이것보다 주식편입비가 낮은 안성형(편입비 41~70%)과
안정형(40%이하)은 각각 -1.43%, -0.60%를 기록했다. 이는 직전 주 1.59% 소폭 반등에 성공하면서 수익율 상승반전에 성공했던 KOSPI가
지난 주 -2.84%(22.21포인트) 하락했기 때문이다. KOSPI는 주초 중반까지 미 기준금리
인상가능성 언급 및 중국의 조기 금리인상 불안감으로 급락했으나, 주후반에는 예상을
하회하는 미 물가지수 발표로 급격한 미 기준금리인상 가능성이 약화되어 하락폭을
줄였다. KOSPI200은 통신업의 상대적 강세로 KOSPI보다 낮은 -2.55%하락했고 코스닥시장은
-6.27%로 약세폭이 컸다.
세이에셋고배당주식형펀드의 경우 이미 알려졌듯이 주식 약세장에서 하방 경직성이 강한 배당주에 집중투자하는 펀드이다. PCA투신의 2개 펀드는 타 업종대비 하락폭이 컸던 전기전자업종의 주식내 비중이 유형평균인 36.92%에 비해 낮은 20%초반이고, 강세를 나타낸 통신업의 비중이 유형평균대비 비교적 높게 가져가 시장대비 양호한 수익률을 나타냈다. 이에 반해 대한투신펀드중 대우윈윈에이스주식E26호(-5.64%), 윈윈프라임주식E-6호(-5.38%), 윈윈원더풀주식S-1호(-5.35%)가 부진한 수익률을 보였다. 이 3개 펀드의 경우 전기전자업종과 KOSDAQ종목이 동일유형 평균대비 매우 높게 구성되어 있는 상황에서 지난 한주간 전기전자업종과 KOSDAQ 수익률 하락폭이 타 업종대비 컸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삼성투신의 삼성에버그린주식1호는 -1.80%의 수익률로 일부 방어력을 보여주었고, 최근 1달간 수익률은 8.99%로 성장형(4.22%)중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여 최근 주가변동성이 큰 장세에서 강한 면을 나타내고 있다. 설정액이 300억원 이상인 성장형 운용사 23개 모두 마이너스 수익율을 기록한 상태에서 고배당주펀드가 선전한 SEI에셋자산이 -0.97%로 가장 양호한 주간수익률을 보였다. PCA투신(-1.45%), 한일투신(-1.86%)도 유형평균대비 높은 수익률을 거뒀다. PCA투신과 SEI에셋자산은 하락장에서 수익율을 상대적으로 잘 방어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배당주투자펀드와 포트폴리오상 최근 하락폭이 큰 전기전자업종비중이 동일유형대비 낮게 보유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동양투신(-3.99%)과 대한투신(-3.90%)이 가장 저조한 수익율에 머물렀다. 주식형이 고전하는 가운데 시가 채권형 펀드도 -0.06%, 연환산해서 -3.05%의 마이너스
수익률로 매우 저조했다. 지난주 채권시장은 국내 콜금리인하가 힘든 상황에서 절대금리 부담감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 그린스펀의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가능성 언급과 단기적인 수급부담감(주간단위
6조발행)으로 지표채(국고채3년)가0.14%P로 크게 상승하였다. 설정액 100억원 이상의 펀드 96개 모두 연환산수익률로 4%미만의 수익률로 저조한 가운데 대한투신의 스마트중기채권 I-3(연3.99%), 스마트단기채권 S-1(연3.56%), 한국투신의 TAMS베이직 단기채권A-123호(연3.81%), 한일투신의 3M ESSENCE채권A-1호(연3.04%)가 금리 급등장에서 상대적으로 수익률 하락을 방어하며 연3%이상을 나타내었다. 이들 펀드는 모두 중단기형(단기형: 환매수수료 부과 기간 6개월 미만, 중기형: 6개월~1년미만) 펀드들로 일반적으로 듀레이션이 장기형에 비해 짧고, 금리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컸던 3년이상 채권보다는 안정적인 보유이익(Rolling Effect)가 큰 1.5년미만의 만기를 가진 채권비중이 높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장기물의 비중과 듀레이션이 상대적으로 긴 KB자산운용의 KB장기주택마련 채권1호와 KB국공채알파장기채권1호, 동부투신의 해오름M12-A채권1호가 연환산수익률 -10%이하로 매우 저조한 수익률을 보였다. 운용 규모(설정액)가 300억원 이상이 채권형 운용사 20곳 중 도이치투신(연환산 1.76%), 알리안츠투신(연환산 0.91%), 조흥투신(연환산 0.80%), SK투신(연환산 0.26%) 4곳만이 플러스 수익율을 기록하는 부진한 수익을 보였다. 자산운용협회의 지난 주 수탁고 집계에 따르면 총수탁고는 1조 3,049억원이 증가한 164조 9,505억원으로 나타났다. 직전주 4,752억원 감소하였던 MMF에서 한주만에 1조 6,000억원이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주식형이 1,673억 감소하였고, 연 5주째 5,000억 이상 자금이 유입됐던 채권형이 금리불안감으로 150억 줄어들어 감소세로 반전되었다. 채권혼합형에서도 1,128억원이 감소하였다. <김양진>
|
이전글 | [6/25]주식형 채권형 모두 한주만에 반등에 성공 |
다음글 | [6/11]주식형 수익률 다소 회복, 채권형 연 1.15%에 그쳐 |